분류 전체보기 20

리눅스 런레벨(Runlevel)

1)런레벨(Runlevel) init 숫자 여기서 숫자를 runlevel 이라고 한다. 1회성 사용시에는 터미널에 init (숫자) 형태로 입력해주면 된다. 2)관련 파일과 default모드 설정 관련 폴더는 /lib/systemd/system/ [runlevel파일과 default파일 확인, 텍스트 다중 사용자 모드로 변경 후 다시 그래픽 다중 사용자 모드로 변경하기] **desktop 버전의 xwindow기준! cd /lib/systemd/system/ ->해당 폴더로 이동 (Change Directory) ls -l runlevel*.target ->runlevel*.target파일 상세리스트 확인가능. 모두 심볼릭 링크로 각 기능과 관련된 파일을 가르키고 있다. ls -l default.targe..

리눅스 2021.05.01

우분투 리눅스 명령어 (프로그램 종료, 로그아웃, 재부팅)

1) 프로그램 종료 poweroff shutdown -P now (P: poweroff 의미) halt -P (P: poweroff 의미) init 0 (init 명령어의 runlevel 0는 종료를 의미한다.) 2) 로그아웃 logout exit (콘솔창에서만 사용! gui모드의 xwindow에서는 사용X) +)사용자를 바꾸는 su - (사용자 이름) 을 통해 테스트 가능! (su : Switching User) 3) 재부팅(다시시작) shutdown -r now (r: reboot 의미) reboot init 6 (init의 runlevel 6은 재부팅을 의미한다.) (+)가상 콘솔 (가상 모니터) CTRL+F2~F7 (Desktop 기준, F2는 Xwindow 모드이다.) 프롬프트는 root의 경우..

리눅스 2021.05.01

ubuntu 리눅스 개념

우분투(ubuntu) 리눅스 기원 리눅스에는 ubuntu, cent, Fedora등의 종류가 있는데 ubuntu도 그 중 한 종류이다. 리눅스는 처음에 GNU프로젝트로 만들어졌는데 GNU 프로젝트는 GPL을 따른다. *GPL(General Public License):자유 소프트웨어의 수정과 공유의 자유를 보장한다. +) 프리웨어: 프로그램만 배포 자유 소프트웨어: 소스코드까지 오픈소스로 공개, 자유 소프트웨어를 통해 만든 프로그램은 유료배포가 가능하나 해당 소스를 오픈소스로 공개해야한다 리눅스는 무료 유닉스의 개념으로 만들어졌는데 리눅스의 엔진인 커널이 무료로 배포되었다. (커널은 무료이기 때문에 커널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커널 업그레이드) 커널버전은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5.4.0 각각 주버..

리눅스 2021.05.01

시스코 명령어들2

1)인터페이스 활성화 전역설정모드에서) int fa 0/1 ->int는 interface의 약자. fa는 Fast Ethernet의 약자. 현재 연결된 케이블을 적어준다.(인터페이스 선택) +)전역설정 모드로 들어가려면 CLI창에서 enable 엔터 conf t 엔터 coding-study-coling.tistory.com/7 참고! no shutdown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불이 red->green으로 변하게 된다.(shutdown만 쓰면 인터페이스 비활성화이다.) 2)케이블 선택 Copper Straight-Through케이블은 direct 케이블이라고 하며 서로 다른 계층 장비를 연결시에 사용한다. ex)PC 터미널과 라우터 Copper cross 케이블은 Crossover케이블이라고도 하며, ..

네트워크 2021.04.26

시스코 명령어들

1)IOS(Internetwork Operationg System) 시스코 네트워킹 제품들의 운영체제로 CLI와 GUI가 있다. CLI(Command Line Interface): 실제 제품과 같은 환경 ->명령을 내림 GUI(Graphic User Ineterface): PT에서의 편의성 제공->아이콘 2)IOS CLI 모드 1.사용자모드 (User EXEC Mode) 제한된 명령어만,장치설정 불가 프롬프트:Router> 사용자모드에서 enable 입력시 관리자 모드이동 2.관리자모드(Privileged EXEC Mode) 동작 장치의 설정내용 확인가능 (show run 명령어) 프롬프트:Router# 관리자모드에서 configure terminal(줄여서 conf t)입력시 전역 설정모드로 이동 3...

네트워크 2021.04.26

IP의 A, B, C 클래스와 서브넷팅

1)A, B, C 클래스 클래스란 ip주소를 나누는 방식이다.(ipv4기준 ipv6는 네트워크 규모 및 단말기 수에 따른 순차적 할당) A, B, C, D, E 클래스가 있으나 D는 멀티캐스트용이고, E는 실험, 연구용이라 잘 사용하지 않는다. ip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뉘는데 클래스에 따라 나누는 방식이 다르다. IPV4: 32자리(비트) 2진수로 구성. 사용하기 쉽게 10진수로 바꾸어 나타낸다.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으로 나뉜다. A클래스:네트워크부분 8비트(0~126), 호스트 부분 24비트. 네트워크 부분이 0으로 시작,주로 대기업 사용 호스트수=2^24-2 *이때 -2를 해주는 이유는 시작 비트와 마지막 비트(브로드캐스트주소)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 B클래스:네트워크부분 16비트(..

네트워크 2021.04.26

OSI 7 Layer

1)OSI 7 Layer 데이터 단위 물리계층 (1계층): 비트 데이터링크 (2계층): 프레임 *mac주소(물리주소)사용 네트워크계층 (3계층): 세그먼트 *ip주소가 헤더에 속한다 *라우터가 최적의 경로(안전,빠르게) 찾아줌 전송계층 (4계층): 세그먼트 *포트번호를 사용한다 세션,표현,응용계층 (5,6,7계층): Datagram 데이터 단위 사용 2)OSI 개방형 참조모델 1.서비스 2.인터페이스 3.프로토콜 OSI 개방형 참조모델은 위와 같이 세분화된다. 이중에 프로토콜은 구문, 요소, 타이밍 3요소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2021.04.26

개념정리

프로토콜 1)OSI 7계층 네트워크 계층,TCP/IP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 IP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al): 인터넷 오류 메세지 프로토콜, 네트워크 관련 오류메세지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al):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멀티 캐스팅하는 그룹들의 멤버쉽 관리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 주소결정프로토콜, IP주소->MAC주소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역순주소결정프로토콜, MAC주소->IP주소 *MAC주소는 고유한 식별번호, IP는 통신사에 의해 할당되며 변경가능함 GARP(Gratuitous ARP): 본인의 존재를 알리기 위함, I..

네트워크 2021.03.22

자주사용하는 단축키

※win10기준 win키+e =디렉토리(폴더) 열기 win키+d = 화면창 모두 숨기기(or 열기) win키+s =윈도우 탐색기(검색창) win키+x =실행 우클릭, 바로가기 메뉴 제공 win키+tab =전체 작업중인 창 확인 win키+i =설정 열기 win키+l =PC잠금 or 계정전환 win키+, =바탕화면 임시로 미리보기(창이 넘어가지는 않음) win키+숫자 =해당 숫자를 n이라고 할때, n번째로 작업표시줄에 고정된 앱을 시작(이미 시작되어진 경우에는 해당화면으로 이동->shift를 같이 누르면 새창 열기) win키+숫자+alt =해당 숫자를 n이라고 할때, n번째로 작업표시줄에 고정된 앱 마우스 우클릭 win키+방향키 =브라우저 화면창 크기조절 win키+r =실행창 열기 ctrl+c =복사 ctr..

기타 2021.03.20

명령 프롬프트 (cmd)와 디렉토리(폴더)

1)명령 프롬프트에서 디렉토리를 열기 1.실행,cmd입력 2.명령 프롬프트가 열리면 explorer 폴더명 입력 *폴더명에 . 을 입력시 사용자 admin창이 열리게 된다(단 explorer 다음 띄어쓰기 필요) 2)디렉토리에서 명령 프롬프트창 실행 (방법1)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싶은 폴더로 이동해 폴더명에 모두 지우고 "cmd" 입력(단축키인 alt+d 누르고 cmd 눌러도 ok) *alt+d =주소 수정 단축키 (방법2) shift+우클릭->여기서 명령창 열기 *단 win10의 경우에는 Powershell이 있을수도 있다 *Powershell은 cmd와 기능이 유사하며 cmd보다 향상된 기능을 가진다 (+) win+x 혹은 시작 오른쪽 마우스 클릭으로 cmd 실행가능 (Powershell이 있을수도..

기타 2021.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