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10

Unable to init server: 연결할 수 없습니다: 연결이 거부됨

네임서버 구축을 위하여 gedit으로 /etc/bind/named.conf.options파일을 수정하려하자 다음과 같은 오류가발생함. root@ubuntu:~# gedit /etc/bind/named.conf.options Unable to init server: 연결할 수 없습니다: 연결이 거부됨 (gedit:3265): Gtk-WARNING **: 23:23:06.848: cannot open display: sudo 권한을 넣어 실행해봐도 동일한 결과 root@ubuntu:~# sudo gedit /etc/bind/named.conf.options Unable to init server: 연결할 수 없습니다: 연결이 거부됨 (gedit:3272): Gtk-WARNING **: 23:25:38.128..

리눅스 2021.05.17

리눅스 쉘 스크립트 연습 및 분석

**뛰어쓰기로도 error나니 주의하기!! Tip) 터미널에서 에디터로 sh파일을 열면 터미널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gedit 파일명.sh & 로 백그라운드로 열어 Ctrl+S로 저장하고 터미널에서 결과 바로 출력해보기. (gedit이 행번호도 나와서 오류확인에도 편리함.) 코드1) if ~else문 #!/bin/sh num1=100 num2=$num1+200 #위와 같이 입력시 계산이 아니라 문자열이 더해진것으로 인식하므로 100+200 출력 echo $num2 num3=`expr $num1 + 200` echo "$num3" num4=`expr \( $num1 + $num3 \) / 2 \* 3 ` #()괄호와 *곱기호 사용시 앞에 \(역슬러쉬)를 붙여야한다. echo $num4 echo =======..

리눅스 2021.05.17

리눅스 링크 (하드 링크 , 심볼릭 링크)

링크에는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심볼릭 링크)가 있으며 그림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하드링크와 심볼릭링크 사용해보기 test 파일 생성 vi test 하드링크생성 ln test hardlink test 파일로 hardlink 를 만듭니다. 심볼릭링크생성 ln -s test softlink test 파일로 softlink 를 만듭니다.(이때 -s 는 softlink(symbolic link)를 의미합니다.) 아이노드 블록까지 상세 리스트로 확인 ls-il hardlink와 test의 inode 블록번호는 동일하고 softlink만 다른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test 파일(원본파일)을 삭제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cat 명령어로 hardlink와 symbolic링크를 출력해보면 hardlink만 ..

리눅스 2021.05.02

리눅스 마운트(mount) - cd/dvd, usb 연결

1) 마운트란? 물리장치(cd/dvd,usb등)와 특정위치(디렉토리)를 연결하는 것이다. 2) 명령어를 통한 연결 방법 **VM Ware 기준 Player - Management - Virtual Machine Settings...-CD/DVD 그림과 같이 설정후 ok 누르기 server를 깐 경우 수동으로 마운트해야하고 desktop버전도 확실한 연결을 위해 연결은 끊고 다시 수동으로 연결해 주는것이 좋다. 마운트 끄기 umount /dev/cdrom umount는 언마운트를 의미하고 dev는 장치(device)를 의미 다시 마운트 하기 mount /dev/cdrom /cdrom dev/cdrom을 /cdrom위치에 마운트(연결)하여 사용한다는 뜻이다. 이동 cd /cdrom 마운트 한 위치로 가면 마..

리눅스 2021.05.02

리눅스 에디터 gedit, nano, vi

1)gedit window의 메모장과 유사한 기능이다. gui모드인 xwindow(desktop 버전)에서만 사용가능하다. 2)nano *ctrl+c로 현재행과 총행 확인가능. *nano -c 파일명 으로 c옵션을 줄 경우 움직일때마다 행 표시(c: constant show 끊임없는 보여줌) *모두 작성 후 ctrl+x 엔터 y 엔터로 저장 후 종료 3)vi **vim으로도 사용가능 +)vim의 m은 improved의 약자로 향상된 vi라는 뜻이지만 리눅스에는 vi는 없고 vim만 있으므로 둘 다 차이가X vi입력이나 vim 입력이나 모두 vim 실행. 그러나 유닉스에서는 둘이 차이가 있으므로 주의! 명령모드, 입력모드, ex모드(라인명령모드) 3가지 모드가 존재한다. 터미널에서 vi 에디터를 실행시 명..

리눅스 2021.05.02

리눅스 기본 명령어 , 정의 (definition)

(주의!) 일부 외우기 쉽게 끼워맞추기 있음 cd : change directory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cd 만 입력하거나 cd ~ 입력시 해당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ls : list segment 현재 위치의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실행중인 디렉토리 위치 출력 ln : link 링크를 만듭니다. mkdir : make directory 폴더를 생성합니다. touch 파일을 생성합니다. rm : remove 파일 또는 폴더를 제거합니다. (폴더 제거시 옵션 필수! -d: 빈 디렉토리 제거 시, -r: 비어있지 않은 디렉토리 제거 시) cp : copy 파일 또는 폴더를 복사합니다. rmdir : remove directory 폴더를 제..

리눅스 2021.05.01

리눅스 런레벨(Runlevel)

1)런레벨(Runlevel) init 숫자 여기서 숫자를 runlevel 이라고 한다. 1회성 사용시에는 터미널에 init (숫자) 형태로 입력해주면 된다. 2)관련 파일과 default모드 설정 관련 폴더는 /lib/systemd/system/ [runlevel파일과 default파일 확인, 텍스트 다중 사용자 모드로 변경 후 다시 그래픽 다중 사용자 모드로 변경하기] **desktop 버전의 xwindow기준! cd /lib/systemd/system/ ->해당 폴더로 이동 (Change Directory) ls -l runlevel*.target ->runlevel*.target파일 상세리스트 확인가능. 모두 심볼릭 링크로 각 기능과 관련된 파일을 가르키고 있다. ls -l default.targe..

리눅스 2021.05.01

우분투 리눅스 명령어 (프로그램 종료, 로그아웃, 재부팅)

1) 프로그램 종료 poweroff shutdown -P now (P: poweroff 의미) halt -P (P: poweroff 의미) init 0 (init 명령어의 runlevel 0는 종료를 의미한다.) 2) 로그아웃 logout exit (콘솔창에서만 사용! gui모드의 xwindow에서는 사용X) +)사용자를 바꾸는 su - (사용자 이름) 을 통해 테스트 가능! (su : Switching User) 3) 재부팅(다시시작) shutdown -r now (r: reboot 의미) reboot init 6 (init의 runlevel 6은 재부팅을 의미한다.) (+)가상 콘솔 (가상 모니터) CTRL+F2~F7 (Desktop 기준, F2는 Xwindow 모드이다.) 프롬프트는 root의 경우..

리눅스 2021.05.01

ubuntu 리눅스 개념

우분투(ubuntu) 리눅스 기원 리눅스에는 ubuntu, cent, Fedora등의 종류가 있는데 ubuntu도 그 중 한 종류이다. 리눅스는 처음에 GNU프로젝트로 만들어졌는데 GNU 프로젝트는 GPL을 따른다. *GPL(General Public License):자유 소프트웨어의 수정과 공유의 자유를 보장한다. +) 프리웨어: 프로그램만 배포 자유 소프트웨어: 소스코드까지 오픈소스로 공개, 자유 소프트웨어를 통해 만든 프로그램은 유료배포가 가능하나 해당 소스를 오픈소스로 공개해야한다 리눅스는 무료 유닉스의 개념으로 만들어졌는데 리눅스의 엔진인 커널이 무료로 배포되었다. (커널은 무료이기 때문에 커널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커널 업그레이드) 커널버전은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5.4.0 각각 주버..

리눅스 2021.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