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
1)OSI 7계층 네트워크 계층,TCP/IP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
IP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al): 인터넷 오류 메세지 프로토콜, 네트워크 관련 오류메세지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al):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멀티 캐스팅하는 그룹들의 멤버쉽 관리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 주소결정프로토콜, IP주소->MAC주소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역순주소결정프로토콜, MAC주소->IP주소
*MAC주소는 고유한 식별번호, IP는 통신사에 의해 할당되며 변경가능함
GARP(Gratuitous ARP): 본인의 존재를 알리기 위함, IP충돌감지, ARP 테이블 갱신
2)OSI 7계층 응용 계층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링크 사용 문서관련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망관리 프로토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메일 전송(송신) 프로토콜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메일 수신 관련 프로토콜
FTP(File Transfer Protocol): 파일전송프로토콜, 파일 교환관련
TELNET: 텔넷, 원격 데스크톱 연결
SSH(Secure Shell): TELNET과 유사한 원격 데스크톱 연결 프로토콜, 그러나 TELNET은 보안이 약한데 비해 SSH는 보안을 중시한 프로토콜이다.
PDU(Process Data Unit)
데이터 전송단위
OSI 7 Layer
4계층 (전송계층) | 세그먼트(Segment) |
3계층 (네트워크계층) | 패킷(Packet) |
2계층 (데이터링크계층) | 프레임(Frame) |
1계층 (물리계층) | 비트(Bit) |
TCP/IP Layer의 TCP포트
wellkown포트
TCP
연결형->신뢰성↑
*IP-> 데이터 배달
TCP->패킷 추적 및 관리
속도↓
가상회선방식
TCP에 속하는 포트
21:FTP(파일)
22:SSH(보안 원격 연결)
23:TELNET(원격 연결)
25:SMTP(메일 송신)
80:HTTP(링크 문서)
110:POP3(메일 수신)
UDP(User Datagram Protocal)
비연결형->신뢰성↓
논리적 경로X
속도↑
데이터 그램 방식
실시간 서비스(Streaming)에 적합 (신뢰성이 낮지만 속도가 빠르기 때문)
흐름제어X->오류확인 불가능
UDP에 속하는 포트
53:DNS(Domain Name System)
67: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유니캐스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포트)
69: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간단한 파일 전송)
151: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간이 망 관리)
IPV4(32비트)->IPV6(128비트)
IP사용증가에 따른 IP고갈에 의한 주소체계의 확장
*유니캐스트: 1대1(IPV4,IPV6)
*멀티캐스트: 어떠한 그룹에 전송(유튜브 구독자에게만 전송하거나 서비스를 신청한 이들만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IPV4,IPV6)
*브로드캐스트: 모두에게 전송(IPV4)
*애니캐스트:가장 가까운 노드에 전송(IPV6)
IEEE802표준
근거리 통신망(LAN)과 도시권 통신망(MAN)을 관할하는 전기전자기술협회(IEEE) 표준 규칙들의 개요
1)IEEE802.2
에러보정, 흐름제어(데이터링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 1. LLC(논리적 연결 제어)(하부계층) 2. MAC(고유주소)(물리적 전송)(선로,매체간 연결)
2)IEEE802.3
MAC계층과 물리계층의 정의
CSMA/CD방식->충돌감지,회피
*CSMA/CD = Ethernet(유선랜)
*IEEE802.11의 CSMA/CA(무선랜)과 정반대
3)IEEE802.4
토큰버스 방식->사무실, 연구실, 공장등에서 사용
4)IEEE802.5
토큰링 방식
STP,UTP사용->속도↑
5)IEEE802.11
무선랜,와이파이 등의 좁은지역을 위해 사용
CSMA/CA방식(무선 네트워크)->충돌 회피
*CSMA/CA =WirelessLAN(무선랜)
반송파를 보내 회선사용여부를 판단 (다중 접속 방식)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코 명령어들2 (0) | 2021.04.26 |
---|---|
시스코 명령어들 (0) | 2021.04.26 |
IP의 A, B, C 클래스와 서브넷팅 (0) | 2021.04.26 |
OSI 7 Layer (0)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