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IP의 A, B, C 클래스와 서브넷팅

coling 2021. 4. 26. 14:42

1)A, B, C 클래스

 

클래스란 ip주소를 나누는 방식이다.(ipv4기준 ipv6는 네트워크 규모 및 단말기 수에
따른 순차적 할당)

 

A, B, C, D, E 클래스가 있으나 D는 멀티캐스트용이고, E는 실험, 연구용이라 잘 사용하지 않는다.

 

ip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뉘는데 클래스에 따라 나누는 방식이 다르다.

 

  • IPV4: 32자리(비트) 2진수로 구성. 사용하기 쉽게 10진수로 바꾸어 나타낸다.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으로 나뉜다.

 

A클래스:네트워크부분 8비트(0~126), 호스트 부분 24비트. 네트워크 부분이 0으로 시작,주로 대기업 사용

호스트수=2^24-2

*이때 -2를 해주는 이유는 시작 비트와 마지막 비트(브로드캐스트주소)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

 

B클래스:네트워크부분 16비트(128~191),호스트 부분 16비트. 네트워크 부분이 10으로 시작, 주로 중소기업 사용

호스트수=2^16-2

 

C클래스:네트워크부분 24비트(192~223), 호스트 부분 8비트. 네트워크 부분이 110으로 시작, 소기업, 일반기업에서 사용

호스트수=2^8-2

 

*네트워크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합해서 32비트가 나와야한다.(ipv4가 32비트 체제이기 때문)

 

2)사설 IP주소

 

네트워크 주소는 공인ip주소와 사설ip주소로 나뉜다.

 

ipv4주소블록을 사용하던 중에 사용량 증가에 따라 ipv4의 주소가 부족해지게 되고 내부 로컬 네트워크와 사설ip사용을 권고하게 된다.

*단, 외부 통신시에는 공인 ip주소가 필요

 

사설 ip 주소 체계는 이와같이 공인 ip의 부족으로 사용한것인데 내부 네트워크를 DHCP(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를 통해 사설ip배분을하고 외부와 통신시에는 라우터등으로 연결하여 외부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방식이다.

 

3)서브넷팅

서브넷: ip주소 낭비 방지를 위해 원본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과정

 

위에서 말한 A,B,C클래스로 네트워크 구성 후에 브로드캐스트를 하면  우리가 목표했던 기기뿐만 아니라 수많은 기기들이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브로드캐스트도메인 분리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서브넷 마스크를 통한 서브넷팅이 필요하다.

 

  • 브로드 캐스트 도메인: Lan에서 어떤 단말이 브로드캐스트시 '네트워크에서 영향 받는 영역' 혹은 '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들의 집합'

 

브로드 캐스트 분할 장비

  1. VLAN 구현 장비 :브로드캐스트도메인 세분화 혹은 합침, 그러나 연결성X
  2. 라우터(혹은 L3 Switch) :브로드캐스트도메인 세분화 및 상호 연결성O

*같은 네트워크 주소이면 같은 브로드캐스트도메인을 가진다.

 

ip주소이면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가 있는데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을 나누어 알려준다(네트워크 부분은 255,호스트 부분은1이다.)

 

A클래스의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255.0.0.0

B클래스의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255.255.0.0

C클래스의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255.255.255.0

 

하지만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분리를 위해서는 이를 가공하여 사용해야한다.

서브넷 네트워크=ip주소 & 서브넷 마스크

 

위와같이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and연산한다.

*and 연산이란 이진수로 계산시 모두 1이여야 1을 반환하고 하나라도 0이 있으면 0을 반환하는 방식

 

 

 

 

서브넷마스크는 이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한 값. 서브넷수는 2^n(n은 1의 개수). 총 ip수는 1이 처음으로 나오는 위치의 십진수값. 제외주소는 시작비트와 마지막비트(브로드캐스트주소). Host수는 가용ip수로 총ip수 - 제외주소값이다.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표기법

 

192.168.0.1/24 와 같이 /(슬래시)이후에 서브넷의 1의 개수를 써주는 표기방법.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코 명령어들2  (0) 2021.04.26
시스코 명령어들  (0) 2021.04.26
OSI 7 Layer  (0) 2021.04.26
개념정리  (0) 2021.03.22